티스토리 뷰
국가건강검진은 모든 국민이 주기적으로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도입니다. 검진 대상자는 출생 연도의 홀수·짝수 여부에 따라 매년 번갈아가며 정해집니다. 따라서 본인이 올해 건강검진 대상자인지 확인하려면 출생 연도를 확인해야 합니다.
건강검진 대상자 구분 원칙
건강검진은 기본적으로 만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며, 출생 연도 끝자리에 따라 검진 연도가 나누어집니다. 예를 들어 1985년생은 출생 연도의 끝자리 숫자가 5이므로 홀수년도에 검진 대상이 됩니다. 반대로 1992년생은 끝자리 숫자가 2로 짝수년도에 검진을 받게 됩니다.
출생 연도 끝자리 | 검진 대상 연도 | 예시 |
---|---|---|
홀수 (1, 3, 5, 7, 9) | 홀수 해 | 1981년생 → 2025년 검진 대상 |
짝수 (0, 2, 4, 6, 8) | 짝수 해 | 1990년생 → 2026년 검진 대상 |
본인 확인 방법
본인이 올해 검진 대상자인지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검진 대상자 확인
- 건강iN 모바일 앱을 통한 간편 조회
- 콜센터 1577-1000으로 문의
검진 항목
일반 건강검진 항목은 혈압, 체중, 시력, 청력 측정과 혈액·소변 검사 등 기초검사 위주로 구성됩니다. 연령대에 따라 추가적인 암 검진(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폐암)도 함께 진행됩니다.
검진 절차
- 검진 대상자 확인
- 지정 검진기관 예약
- 검진 당일 신분증 지참
- 검진 진행 및 결과 확인
주의사항
건강검진을 받을 때에는 몇 가지 유의할 점이 있습니다.
- 혈액검사를 위해 검사 전 최소 8시간 금식 필요
- 복용 중인 약이 있다면 사전 안내 필수
- 여성은 생리 기간을 피해서 예약하는 것이 권장됨
정리
건강검진은 홀수년도·짝수년도 제도를 통해 전 국민이 번갈아가며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출생 연도의 끝자리를 기준으로 본인의 검진 해를 확인하고, 해당 해에 반드시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진을 미루지 않고 제때 받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지름길입니다.
#건강검진 #건강검진대상자 #홀수년도짝수년도 #국가건강검진 #검진조회 #건강관리